청설모때문에 호두, 잣, 밤을 재배하시는 분들은 많은 피해를 본다고 하네요.
그래서 몇해전에 유해조수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.
들리는 말에 의하면 다람쥐의 개체수도 청설모때문에 줄고 있다는 말도 있던데 맞는지는 모르겠구요.
저는 개인적으로 다람쥐가 더 좋습니다. ㅎㅎ
⊙ 청설모(청서)
⊙ 다람쥐 - 경계도 심하고 움직임도 빨라서 청설모처럼 쉽게 사진을 찍기 힘들더군요.
- 쥐에다가 줄무늬를 칠한거 같지 않나요?
- 이건 초점이 너무 안 맞았지만 저를 경계하고 있는 모습이 귀여워서...^^

그래서 몇해전에 유해조수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.
들리는 말에 의하면 다람쥐의 개체수도 청설모때문에 줄고 있다는 말도 있던데 맞는지는 모르겠구요.
저는 개인적으로 다람쥐가 더 좋습니다. ㅎㅎ
⊙ 청설모(청서)
⊙ 다람쥐 - 경계도 심하고 움직임도 빨라서 청설모처럼 쉽게 사진을 찍기 힘들더군요.
'추억 속 푸른기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추모 (10) | 2010.08.18 |
---|---|
동이 한효주 (30) | 2010.08.17 |
초보는 꽃사진 (6) | 2010.08.12 |
소인과 거인 (4) | 2010.08.11 |
경북 포항으로의 휴가 (12) | 2010.08.10 |